Search

블록 설명

블록의 종류에 대해 알아봅니다.
화면 구성에 대해 알고 싶다면? 설명 바로가기

1. 시작 블록

코딩의 시작점을 정해주는 블록입니다.

1-1. 공간에 들어왔을 때

사용자가 공간 url에 접속했을 때를 의미합니다.
고정된 블록으로 추가하거나 생성할 수는 없습니다.

1-2. <3D모델>을 클릭했을 때

기능 설명
<3D모델>을 클릭했을 때 <연결된 블록>을 실행합니다.
<연결된 블록>은 갯수 제한 없이 넣을 수 있습니다.
설정값 입력
공간에 생성한 3D모델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생성한 3D모델이 없다면 작동이 어렵습니다.

1-3. <space>키를 눌렀을 때

기능 설명
선택한 <key>를 눌렀을 때 <연결된 블록>을 실행합니다.
설정값 입력
아래와 같은 키보드 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space, Enter, Backspace, Shift, ctrl, Tab, Alt
0, 1, 2, 3, 4, 5, 6, 7, 8, 9

1-4. <3D모델>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, 내렸을 때

기능 설명
<3D모델>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<연결된 블록1>을 실행하고, 마우스를 내렸을 때 <연결된 블록2>을 실행합니다.
설정값 입력
공간에 생성한 3D모델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생성한 3D모델이 없다면 새로 생성해주세요!

2. 조건/반복 블록

어떤 조건일 때만 또는 반복해서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

2-1. <3D모델>과 <3D모델>이 충돌할 때

기능 설명
선택한 두개의 <3D모델>이 서로 충돌할 때 <연결된 블록>을 실행합니다.
설정값 입력
공간에 생성한 3D모델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생성한 3D모델이 없다면 새로 생성해주세요!
TIP.
이 블록이 실행되게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3D모델간의 충돌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.
선택한 3D모델을 A, B라 했을 때, A가 B를 향해 이동하거나 B가 A를 향해 이동하거나 또는 A와 B가 움직이는데 좌표가 겹치는 순간을 만들어주면 이 블록이 실행됩니다.

2-2. 동시에 실행하기

기능 설명
<연결된 블록1>과 <연결된 블록2>를 동시 실행합니다.
TIP.
두 개의 연결된 블록을 1,2라할 때, 1번 <연결된 블록> 안에 블록을 2개 이상 연결한다면 순서대로 실행됩니다.

2-3. N번 반복하기

기능 설명
<연결된 블록>을 N번 반복 수행합니다.
설정값 입력
횟수를 숫자 패드 또는 키보드로 입력합니다.
클릭시 화면에 숫자 패드가 표시됩니다.
TIP.
반복 블록은 3D모델의 동작 횟수를 정의하여 반복 실행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.
움직임 블록을 연결하여 실행하게 합니다.
참고. 애니메이션 블록은 횟수를 정의할 수 있는 블록이 아니기 때문에 반복 블록과 사용에 어울리지 않습니다.

2-4. 무한 반복하기

기능 설명
<연결된 블록>을 무한 번 반복 수행합니다.
TIP.
반복을 종료하기 위해서 [반복 종료하기]블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2-5. 반복을 종료하기

기능 설명
위에 연결된 블록 중 반복 실행 중인 블록이 있다면 실행을 종료합니다.
TIP.
위에 연결된 블록 중 반복 블록을 사용한 경우 해당 블록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3. 움직임 블록

오브젝트를 움직이게 하는 블록입니다.
애니메이션

3-1. <3D모델>의 애니메이션을 <Run>으로 정하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의 애니메이션을 선택한 값으로 설정합니다.
설정값 입력
공간에 생성한 3D모델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3D모델마다 애니메이션이 다릅니다. 애니메이션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블록 정의가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.
TIP.
애니메이션 블록은 반복 블록 또는 동작 멈추기 블록과의 사용에 어울리지 않습니다.
애니메이션은 “설정한다”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어떤 이벤트로 인해 한번 설정되면 전체 블록이 모두 수행된 이후에도 동작하게 됩니다.
[애니메이션을 멈추기] 블록을 정의하여 애니메이션을 중지시킬 수 있습니다.

3-2. <3D모델>의 애니메이션을 멈추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의 애니메이션을 중지합니다.
설정값 입력
공간에 생성한 3D모델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TIP.
선택한 <3D모델>의 애니메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블록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위치 이동

3-3. <3D모델>을 N초동안 <앞>으로 N만큼 이동하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을 입력한 시간동안 입력한 방향으로 입력한 거리만큼 이동합니다.
설정값 입력
시간 : 시간을 숫자 패드 또는 키보드로 입력합니다. 클릭시 화면에 숫자 패드가 표시됩니다.
방향 : 앞, 뒤, 좌, 우, 위, 아래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거리 : 거리를 숫자 패드 또는 키보드로 입력합니다. 클릭시 화면에 숫자 패드가 표시됩니다.
TIP.
거리 기준은 공간의 크기(이미지, 3D모델 등)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 *편집’시 거리 눈금 제공을 고려’중 입니다.

3-4. <3D모델>을 N초동안 <3D모델>을 향해서 N만큼 이동하기

기능 설명
<3D모델1>을 입력한 시간동안 <3D모델2>이 서있는 방향으로 입력한 거리만큼 이동합니다.
TIP.
블록이 실행하는 시점에 <3D모델2>의 위치 값을 향해 일직선으로 이동합니다.
참고. <3D모델2>가 움직이고 있을 경우 방향을 계속 바꾸면서 <3D모델2>를 따라 이동하지는 않습니다.

3-5. <3D모델>을 N초동안 <경로>를 따라서 <방향>으로 이동하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을 입력한 시간동안 <경로>를 따라서 선택한 방향으로 이동합니다.
설정값 입력
방향 : 정방향/역방향 중 선택합니다. 점에는 순서가 있으며 정방향을 선택할 경우 순서대로 이동, 역방향을 선택할 경우 역순으로 이동합니다.
TIP.
하나의 블록에 선택된 <3D모델>과 <경로>는 같은 씬에 존재해야 합니다.
만약 <3D모델>과 <경로>가 각각 다른 씬에 존재하면 실행되지 않습니다.

3-6. <3D모델> 위치를 좌표 x, y, z로 정하기

기능 설명
<3D모델> 위치를 입력한 좌표 값 x, y, z로 이동합니다.
설정값 입력
위치 : x,y,z값을 입력합니다.
TIP.
정확한 좌표 위치를 알기 어려우므로 3D모델을 위치시켜 해당 모델이 있는 위치(x,y,z)를 가져옵니다.

3-7. <3D모델>의 동작 멈추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의 동작을 중지합니다.
TIP.
이동, 회전을 정의하는 블록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회전

3-8. <3D모델>이(가) <3D모델>을(를) 바라보기

기능 설명
선택한 <3D모델>이 <3D모델>을 바라봅니다.
TIP
각기 다른 3D모델을 설정해야 합니다.

3-9. <3D모델>을 N초동안 <시계>방향으로 N도 회전하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을 입력한 시간 동안 선택한 방향으로 입력한 각도만큼 회전합니다.
설정값 입력
방향 : 시계, 반시계 중 선택합니다.
각도 : 각도를 숫자 패드 또는 키보드로 입력합니다. 클릭시 화면에 숫자 패드가 표시됩니다.
TIP.
각도 : 360도 이상의 수치를 입력하면 1바퀴 이상 회전하게 됩니다.
보이기/숨기기

3-10. <3D모델>을 숨기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을 보이지 않게 합니다.
TIP.
<3D모델>이 보여지고 있는 경우 해당 블록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3-11. <3D모델>을 N초 동안 숨기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을 N초동안 보이지 않게 합니다.
TIP.
<3D모델>이 보여지고 있는 경우 입력한 시간만큼 안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.

3-12. <3D모델>을 보여주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을 나타나게 합니다.
TIP.
<3D모델>이 숨겨져 있는 경우 해당 블록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숨기기 블록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
2-13. N초 기다리기

기능 설명
위에 연결된 블록중 동작중인 블록이 있다면 N초동안 멈추었다가 다시 아래에 연결된 블록을 실행합니다.
설정값 입력
시간을 숫자 패드 또는 키보드로 입력합니다.
클릭시 화면에 숫자 패드가 표시됩니다.

2-14. <씬>으로 이동하기

기능 설명
선택한 씬으로 이동합니다.
현재의 보이는 ‘뷰’가 이동하는 개념입니다.
TIP.
씬을 2개이상 생성하여 이 블록을 사용해보세요.

4. 형태 블록

오브젝트가 외형적으로 바뀌게 하는 블록입니다.

4-1. <3D모델>의 크기를 N배 만큼 변경하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의 크기를 입력한 배수만큼 변경합니다.
설정값 입력
배 수 : 배수를 숫자 패드 또는 키보드로 입력합니다. 클릭시 화면에 숫자 패드가 표시됩니다.
TIP.
3D모델의 크기를 작게 변경하려면 1보다 작은 숫자를, 크게 변경하려면 1보다 큰 숫자를 입력합니다.

4-2. <3D모델>에 글자 크기가 N인 <텍스트>말풍선 보여주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에 입력한 글자 크기만큼 입력한 텍스트 말풍선을 보여줍니다.
설정값 입력
TEXT : 말풍선에 표시하기를 원하는 글자를 입력해주세요.

4-3. <3D모델>에 글자크기 N의 text말풍선을 N초 동안 보여주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에 입력한 글자 크기 만큼의 텍스트 말풍선을 입력한 시간동안 보여줍니다.
TIP.
위 블록과 쓰임은 같지만 원하는 시간동안만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.

4-4. <3D모델>의 색상을 <컬러>(으)로 정하기

기능 설명
<3D모델>의 색상을 선택한 색상으로 설정합니다.
설정값 입력
색상 : 클릭하여 컬러 파렛트에서 원하는 컬러를 선택합니다.
기본 선택값은 컬러 없음으로 3D모델의 기본 색상을 보여줍니다.

4-5. 제목이 <title>이고 <유튜브 또는 비메오> 보여주기

기능 설명
<제목>, <영상> 정보가 표시된 창을 띄웁니다.
설정값 입력
비디오 옵션 : 유튜브, 비메오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유튜브
원하는 영상에서 [공유]버튼 클릭 > 아래 화면과 같이 링크URL이 표시된 필드 옆에 [복사]버튼 클릭 > 블록 url 필드에 붙여넣기
비메오
원하는 영상에서 [공유]버튼 클릭 > 아래 화면과 같이 링크에 표시된 URL을 복사하기 > 블록 url필드에 붙여넣기

4-6. 제목, 설명을 추가하여 <이미지>보여주기

기능 설명
<제목>, <설명>, <이미지>정보가 표시된 창을 띄웁니다.
설정값 입력
이미지는 최대 10mb까지 업로드 가능합니다.